[경기일보] 진료 예약 대기만 4개월… 중증장애인 치과 찾아 ‘삼만리’ [집중취재]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43회 작성일 25-04-04 08:38

본문


진료 예약 대기만 4개월… 중증장애인 치과 찾아 ‘삼만리’ [집중취재]


- 의료사고 위험 높아 일반치과선 거절…하루에 1명만 치료

- 타 지역 원정 빈번… 병원 확충 필요


b0e8bb27d1c236f9c37b9a8f66e26c96_1743723449_4135.jpg
 

▲경기도의료원 수원병원 장애인치과에서 지적장애 3급 나도경씨(40)가 전신마취를 한 후 진료를 받고 있다. 오민주기자


“서른 살인데 치과에 처음 왔어요”, “진료가 가능한 병원을 겨우 찾았지만 예약 대기만 4개월이 걸렸습니다”.


27일 오전 9시30분께 경기도의료원 수원병원 대기 의자에서 나진주씨(42)가 문이 굳게 닫힌 ‘장애인특수치료실’을 초조한 표정으로 바라보고 있었다. 치료실 안에는 지적장애가 있는 그의 동생 나도경씨(40)의 진료가 한창이었다. 10년 만에 치과에 온 것이기에 발치부터 신경치료까지 하느라 시간은 점점 늦어졌다.


지적장애로 몸을 가누지 못하는 나도경씨는 일반 치과에서 번번이 거절당하기 일쑤였다. 지적장애를 앓고 있어 의료 사고 위험이 높다는 것이 이유다. 나진주씨는 “동생이 통증을 호소해 일반 치과에 갔더니 빠른 발치가 필요하다고 했다”며 “하지만 일반 치과에서는 받아주지 않았고 전신마취가 가능한 대학병원에 가라고 할 뿐이었다”며 당시 상황을 떠올렸다.


하지만 대학병원 예약은 하늘의 별 따기였다. 나진주씨는 우연히 온 수원병원에서 중증 장애인도 치과 진료가 가능하다는 안내문을 보고 한시름 놓게 됐다고 전했다. 그는 “중증 장애인이 치과 진료를 받을 수 있는 병원이 많아져 동생처럼 치과에 못 가는 장애인이 없었으면 좋겠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자폐성 장애가 있는 지은우(가명·30)씨는 치과가 생애 처음이다. 지씨가 살고 있는 안산 대부도에는 그를 받아주는 치과가 없었기 때문이다. 그의 아버지는 배달일을 하면서 겨우 생계를 이어가느라 지씨를 서울에 있는 병원까지 데려갈 여력이 없었다고 한다.


지난해 말 장애인시설에 들어간 지씨를 돌보던 사회복지사가 한쪽으로만 음식물을 먹는 지씨의 모습을 보고 치과에 데려갔다. 구강검진 결과 시급하게 치료해야 할 치아만 6개. 박미정 사회복지사는 “안산에서 중증 장애인의 치과 치료가 가능한 가장 가까운 병원이 수원병원이어서 12월에 예약을 했다”며 “전신마취 전 필요한 검사를 진행하기 위해 안산에서 오전 8시에 출발해 2시간을 달려 왔다”고 전했다.


경기도내 중증 장애인들이 이용할 수 있는 치과가 부족해 의료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에 따르면 도내 중증 장애인 전담 치과는 권역장애인구강진료센터 두 곳과 경기도의료원 수원병원·의정부병원 두 곳에 불과하다. 지난해 12월 기준 도내 등록장애인 58만7천910명 가운데 심한 장애는 21만3천886명(36.8%)으로 약 20만명의 중증 장애인이 이용할 수 있는 치과는 네 곳뿐인 셈이다.


도내 장애인 전담 치과 관계자는 “중증 장애인이 치료를 받기 위해서는 전신마취를 해야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인력과 장비 부족으로 하루에 1명만 치료가 가능하다”며 “예약 대기만 평균 120일이 걸리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 기자 : 오민주 기자 

- 출처 : 경기일보(https://www.kyeonggi.com/article/2025032758037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