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블뉴스] 국립중앙박물관 소속관 장애인 관람 지원 열악, "모두의 박물관돼야"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7회 작성일 25-10-24 10:00

본문


국립중앙박물관 소속관 장애인 관람 지원 열악, "모두의 박물관돼야"

f30ca9839e0d0ba3d3e17a5cb2255f53_1761267633_0944.png 

▲진보당 손솔 의원.ⓒ손솔의원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손솔 의원(진보당)이 국립중앙박물관 소속관 13곳 중 장애인 관람 지원 시설이 시각 장애 관람 지원 시설에만 편중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22일 밝혔다.


손 의원에 따르면 시각 장애·청각 장애 관람 지원 시설을 고르게 구비한 곳은 국립진주박물관과 국립제주박물관뿐이다.


시각 장애 관람 지원의 경우, 전시관별 관람 지원 시설의 개수는 턱없이 부족하다.


모든 전시관을 ‘촉각/점자/음성 해설’ 중 하나의 방법으로라도 전부 관람 지원을 하며, 그 개수가 풍부한 경우(관람 지원 시설 60개 이상)는 국립광주박물관·국립춘천박물관·국립진주박물관으로 3곳뿐이다. 그 외는 관람 지원 시설 총계가 10개가 넘지 않거나, 모든 전시관을 관람 지원하지 않고 있다


손 의원은 “시각 장애인의 박물관 관람 경험의 질을 떨어뜨릴 수밖에 없다”면서 “촉각 전시물의 경우 어린이 전시관이나, 특별 전시관에 집중된 경향이 있다”고 짚었다.


국립중앙박물관의 경우 전시품 총 5512점 가운데 시각 장애인을 위한 모형은 70점으로, 전체의 1%에 불과해 박물관에 방문하고도, 관람할 수 있는 전시품의 개수가 적고 전시관의 수가 적다면 충분한 관람 지원이라고 없다.


청각 장애 관람 지원 시설은 국립제주박물관·국립춘천박물관·국립진주박물관 3곳이 50개 이상의 수어 해설을 지원한다. 그 외 소속관은 14개 이하로, 대부분의 소속관이 1~2개 수어 해설 제공에 그치거나 수어 해설을 제공하지 않는다.


발달 장애 관람 지원 시설은 매우 열악하다. 국립춘천박물관과 국립제주박물관 단 2곳만이 가장 많은 관람 지원 시설을 보유하고 있지만, 그 외 소속관은 관람 지원 시설이 거의 없다시피 하다.


손 의원은 “국립춘천박물관의 시각 장애 관람 시설 총 개수가 288개인 것을 고려하면, 이 역시도 턱없이 적은 숫자로 모든 소속관에서 발달 장애 관람 시설 확충에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국립중앙박물관과 소속관 13곳을 비교하면, 국립중앙박물관의 시각 장애 관람 지원 시설은 소속관 최대 건수의 약 24배, 청각 장애 관람 지원 시설은 소속관 최대 건수의 약 4배 많다. 지역의 소속관이 국립중앙박물관의 장애인 접근성 수준을 따라잡지 못하고 있다.


다만 발달 장애 관람 지원 시설의 경우 소속관 최대 건수보다 2건 모자라므로, 국립중앙박물관과 지역 소속관 모두 노력이 필요하다고 손 의원은 지적했다.


또한 국립중앙박물관 소속관 13곳 중 장애인 이용객 수를 수집하는 박물관은 단 2곳 (국립김해박물관·국립나주박물관)뿐으로, 가장 기초적인 수치인 장애인 이용객 수도 수집하고 있지 않았다.


손 의원은 “국립중앙박물관은 동등한 문화 향유를 위해 누구에게나 열려있는 곳이다. 장애인 관람객은 다양한 유형의 장애에 맞게 관람 지원을 받을 수 있어야 하며, 박물관은 이를 지원할 의무가 있다”면서 “다양한 유형의 장애인 관람객의 원활한 관람이 어려운 현황에서 국립중앙박물관 소속관은 다양한 유형에 따른 장애 관람 지원 시설을 다양화, 확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 기자 : 이슬기 기자

- 출처 : 에이블뉴스(https://www.abl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526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